최영림 Choi Young-rim, 1916-1985
Born in Pyongyang, South Pyeongan Province,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urrently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Di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일제시대 조선 평안남도 평양부 출생(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 한국 서울 사망
Born as the eldest son of a wealthy oriental pharmacist in Pyongyang, the center of modernization since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Choi Young-rim learned engraving from Ono Tadaaki, who conducted research and excavation of Goguryeo ruins at the Pyongyang Muse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n moved to Japan to learn woodblock prints from Shiko Munakata.
During the Korean War, he fled to the South only with his son, leaving his wife, mother and three daughters behind in the North, Haeju, Hwanghae Province. Since then, he had missed his family (they are all "women") and hometown in the North for the rest of his life, developing these emotions into the fantastic tales and unique eroticism of his own, not into pai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aspora, Choi 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in the genre of modern woodcuts, while accepting the influence of Lu Xun's woodcut movement in China and the Ukiyo-e movement in Japan.
In the work <Untitled> of 1961, he gives it a quaint beauty through the unique feeling of woodprint in black and white as well as the spreading effect that is acquired by the use of black oil paint, not Asian ink, which allows the grease to permeate mulberry paper. Choi generates pictoriality by using the spreading of oil like the spreading of ink.
In addition, he brings out to life the sharp taste of straight lines in the form of the figure and soban (small dining table). The expressions such as boldly cutting off one side of the figure and soban and transforming the face of the figure show that he accepted various influences from Picasso's work and an abstract painting movement, Art Informel, introduc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ince the early 1950s, and boldly embraced the influence of Japanese Ukiyo-e as well.
The fan of the Korean pattern is also interesting, and the diamond-shaped patterns appearing in the blanks and the traces of the wooden board left intact seem to create an atmosphere and generate a sense of rhythm.
This work takes the form of traditional oriental woodcuts such as <Oryunhaengsildo>―Painting album of the illustrated stories exemplifying the five Confucian virtues―in the creation of which Kim Hong-do, a famous pain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participated. But it also has developed into a Western-style modern woodprint. Choi's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woodblock prints, where the Korean spirit is deeply embedded, is immense and significant.
최영림은 구한말 이래 개화의 중심지였던 평양의 부유한 한약방집 장남으로 태어나, 일제시대 평양박물관에서 고구려 유적 조사와 발굴 작업을 진행했던 오노 타다아키(小野忠明) 로부터 판화를 배운 뒤 일본으로 건너가 무나카타 시코(棟方志功)에게 목판화를 배웠다.
6. 25 전쟁 중 황해도 해주에서 길이 막혀 아내와 어머니 그리고 세 딸을 이북에 남긴 채, 아들만 데리고 월남했다. 이후 그는 이북에 두고 온 가족들(그들은 모두 ‘여성’들이다)과 고향을 평생 그리워하며 이러한 감정을 고통이 아닌, 환상적인 설화와 최영림만의 독특한 에로티시즘 예술로 발전시켜 나갔다.
최영림은 대표적인 디아스포라의 한 명으로서, 중국 루쉰의 목판화 운동과 일본 우끼요에 운동의 영향을 받아들여 근대 목판화 장르에서 ‘한국적’이라는 개념을 확립했다.
1961년작 <무제>에서 그는 검정색으로 찍어낸 목판화 특유의 느낌과 약간 옆으로 번져 나가는 효과를 통해 예스러운 멋으로 감상하는 맛을 좋게 하는데, 이는 먹이 아닌 검정 유성 물감을 사용해 기름기를 한지에 스며들게 한 것이다. 작가는 마치 먹의 번짐처럼 기름기의 번짐으로 회화성을 띠게 하는 느낌을 살려 표현한 것이다.
또한, 인물과 소반의 형태에 있어서도 그는 직선의 칼맛이 잘 빠져나오도록 작업했다. 인물과 소반의 한 쪽도 과감하게 잘라내고 얼굴을 변형시키는 등의 표현은 그가 1950년대 초반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유입된 피카소 작품과 추상회화 운동인 앵포르멜(Art Informel) 등으로부터도 다양한 영향을 받아들이고 일본 우끼요에의 영향 또한 과감하게 도입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적 문양의 부채도 흥미롭고, 여백에 등장하는 마름모꼴의 문양들과 사이사이 파다 남은 목판의 흔적들은 하나의 분위기를 형성하며 리듬감을 만들어 내는 것 같다.
이 작품은 조선시대 단원 김홍도가 참여한 ‘오륜행실도’ 등으로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동양적인 목판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서구적 근대 판화로 구현해 낸 좋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정신이 깊이 깃들어 있는 목판화 분야에서 최영림의 기여는 매우 크고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