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 Kim Won, 1912-1994
Born in Pyongyang, South Pyongyang Province,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urrently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Di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일제시대 조선 평양남도 평양부 출생(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 한국 서울 사망
Kim Won, a native of Pyongyang in the North,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Liberation Tower with Cho Kyu-bong and Kim Chung-up under the Soviet military government after liberation from Japan. According to his testimony, art activities in the North after liberation were organized by the Korean Art Alliance, a left-wing organization. The main project of the Art Alliance was to paint portraits of Kim Il-sung, Stalin, and Lenin, which was somewhat lucrative so that many artists participated. Kim moved south to Seoul in 1947 before the Korean War. Only two sons, aged 10 and 7, survived and came to the South in a group of refugees. It was only after the war that he found his sons in an orphanage.
In the work <Refugees, January-4th Retreat (1956)> appears a bent-waisted grandmother dressed in white, who was modeled after the artist's old mother. An immature grandson holds the hand of and rushes his grandmother, who was exhausted with cold and hunger during evacuation. His 70-year-old mother and wife, who had remained in the North, died in 1951 while fleeing to the South during the January-4th Retreat of the Korean and U.N forces.
Kim was good at painting snow scenes. If you look at this work <Snowscape>, it is as if you can hear the sound of water flowing in the silence of the snow-covered valleys. The snow-covered part is expressed by a technique that leaves a base paper without anything painted, so-called <Hong-un Tak-wol>, which is a way of handling snowy landscapes in oriental painting. In other words, it expresses a snow-covered surface as a blank space by painting the scenery around the snow without painting the snow itself.
김원은 북조선 평양 출신으로 해방 후 소련 군정하에서 조규봉, 김중업과 함께 해방탑 제작에 참여했다. 그의 증언에 따르면 해방 이후 미술활동은 좌익 단체인 조선미술동맹이 주관했다고 한다. 미술동맹의 주요사업은 김일성, 스탈린, 레닌의 초상화를 그리는 일이었는데, 그게 어느 정도 수입이 되어 많은 미술인들이 참여했다고 한다. 김원은 전쟁 전인 1947년 서울로 이주 했다. 피난민 무리에 끼어 10살·7살짜리 두 아들만 살아남아 한국으로 왔고, 전쟁이 끝난 뒤에야 고아원에서 아들을 찾았다.
그의 작품 <피난민, 1.4 후퇴>(1956)에는 흰옷을 입은 허리가 구부정한 할머니가 등장한다. 작가의 노모를 모델로 하는 이 그림에서 철없는 손자는 춥고 배고픈 피란길에 기력이 쇠한 할머니의 손을 잡고 재촉하고 있다. 북에 남았던 칠순 노모와 아내는 1951년 1.4 후퇴 당시 남쪽으로 피난을 오는 과정에 죽었다. 눈 쌓인 한겨울의 혹독한 피난 행렬과 차갑고 어두운 공산치하로부터의 처절한 탈출을 느낄 수있는 작품이다.
작가는 설경을 잘 그린다. 이 작품에서는 눈 덮인 계곡 사이의 적막에서 흐르는 물소리가 마치 귀에 들려오는 듯하다. 눈이 덮은 부분은 아무 것도 칠하지 않은 바탕을 그대로 남기는 기법으로 표현했는데, 이는 동양화에서 눈 덮인 풍경을 처리하는 방식인 홍운탁월(烘雲託月)의 기법이다. 즉, 눈을 그리지 않고 눈 주변의 풍경을 그려 여백으로서 눈을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