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ated History of Korean Diaspora


587 B.C. The Babylonian captivity Many Jews were taken to Babylon after Jerusalem was conquered by Neo-Babylonia. Since then, Jews lived a wandering life for many years.

기원전 587년 바빌론 유수 신바빌로니아의 예루살렘 정복으로 많은 유대인이 바빌론으로 끌려간 이후 유대인은 오랜 세월 방랑 생활을 하게 되었다.

868 A.D. Choi Chi-won of Silla went to study in China The caste, to which Choi belongs, had limited entry into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and mainly served as low-ranking officials or monks. Some of them sought the path to study and become successful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got called to important posts by the king of homeland Silla to strengthen his royal authority.

868년 신라의 최치원의 당나라 유학 최치원이 속한 6두품은 고위관직 진출이 제한되어 주로 하급 관료나 승려로 활동했으나,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현지에서 출세하거나, 왕권을 강화하려는 신라왕의 부름을 받아 요직에 등용되기도 했다.

1592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nd kidnapping of potters Around 30,000 Joseon potters taken to Japan during the ceramic war produced finest porcelain,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wealth through the ceramic trade with the West. Their high-temperature kiln technology was applied to the iron-melting military industry and became the basis of Japanese imperial hegemony.

1592년 임진왜란과 조선 도공 도자기 전쟁 동안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의 도공 약 3만명은 최고의 자기를 생산, 서양과의 도자기 무역을 통한 부의 창출에 기여하였다. 한편, 고온의 가마기술은 철을 녹이는 군수산업에 응용되어 일본제국 패권주의의 기반이 되었다.

1636 Manchu invasion of Joseon and Crown Prince Sohyeon King Injo surrendered to the Qing Dynasty of China, and his first son, Crown Prince Sohyeon, was taken hostage to Qing. The Prince returned home years after interacting with Jesuit missionary Adam Schall in Beijing, and obtaining Catholic books, globes, and Western science equipment, but was killed by his father, who feared the influx of new culture and technology.

1636년 병자호란과 소현세자 조선의 인조는 청에 항복하고, 첫째 아들 소현세자 등은 인질로 끌려간다. 소현세자는 북경에서 아담 샬과 교제, 천주교 서적, 지구의, 서양과학기기를 입수해 고국에 돌아왔지만, 신문물의 유입을 두려워한 아버지 인조에게 살해된다.

1850 Migration to Siberia began Koreans began to move across the Tumen River to Siberia, and in 1926 the number reached 185,480.

1850년 시베리아 이주 시작 조선인이 두만강을 넘어 시베리아 일대로 이주하기 시작하여 1926년에는 그 수가 18만5480명에 이르렀다.

1854/1876 Opening of Japan and Joseon Japan caved in to Admiral Perry's show of  force and opened its ports to the U.S. in 1854. Joseon surrendered to Japan's armed demonstrations and opened its ports in 1876.

1854년/1876년 일본과 조선의 개항 일본은 페리제독의 무력시위에 굴복하여 미국에 개항한다. 한편, 조선은 1876년 일본의 무력시위에 굴복하여 일본에 개항한다.

1884 Gapsin Coup Kim Ok-kyun, Park Young-hyo, and Seo Jae-pil staged a court coup for Joseon's independence from Qing, but failed on the 3rd day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Qing army stationed in Hanseong (Seoul), and defected to Japan. They had sought a cabinet government under the constitutional monarchy, modeled after Japan's Meiji reforms.

1884년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이 청으로부터 조선의 독립을 위해 궁정 쿠데타를 일으켰지만 한성에 주둔 중인 청군의 개입으로 3일 천하로 실패하고 일본으로 망명했다. 이들은 일본의 명치유신을 모델로 입헌군주제 하 내각제 정부를 모색했었다.

1885 Entry of American Missionaries Missionaries Underwood and Appenzeller enter Incheon via Jemulpo Port. 

  • Horace Grant Underwood decided to go to Joseon after reading a letter from an American Christian magazine appealing for Joseon missionary work by Lee Soo-jung, the first Korean baptized in Japan, and became the first American missionary to step on Joseon. He founded Yonsei University and Saemoonan Church, and his family devoted themselves to Korea for 114 years over four generations.

  • Henry Appenzeller established Baeje Academy, which produced President Rhee Syng-man, Linguist Joo Si-kyung, and Poet Kim So-wol, and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 Mary Scranton, who worked on women's education and health care, founded Ewha Academy in 1886, which later became Ewha Women's University. 

  • Homer Hulbert, who arrived in Joseon in 1886, advocated for Koreans to use easy-to-write Hangeul (Korean alphabet), instead of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and introduced spacing in Hangeul. In 1896, he made a score of Arirang, a folk song that had been passed down orally, in a Western style for the first time. 

  • James Gale, who came to Joseon in 1888 and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first proposed to translate ‘God’ as 'Hananim' and made it through. 


1885년 미국 선교사 입국 인천 제물포항으로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입국한다.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일본에서 조선인 최초로 세례를 받은 이수정이 조선 선교를 호소하는 편지를 미국 기독교 잡지에서 읽고 조선행을 결심, 미국인 선교사 중 최초로 조선 땅을 밟았다. 연세대학교와 새문안교회를 설립하였으며, 4대에 걸쳐 114년 동안 한국을 위해 헌신했다.

  • 헨리 아펜젤러는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을 배출한 배제학당과 정동제일교회를 설립했다.

  • 여성 교육과 보건의료에 힘썼던 매리 스크랜튼은 1886년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인 이화학당을 세웠다.

  • 1886년 조선에 도착한 호머 헐버트는 조선인들에게 어려운 한자 대신 쓰기 쉬운 한글을 애용할 것을 주창하고 띄어쓰기를 도입했다. 1896년 구전으로만 전해오던 민요 아리랑을 최초로 서양식으로 채보하여 기록하였다.

  • 1888년에 조선에 온 제임스 게일은 성경을 번역하면서 처음으로 God를 한글의 ‘하나님’으로 부를 것을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1885 The reformists' exile to the U.S. and the learning of Western modernity
 

  • Seo Jae-pil and Park Young-hyo, who had defected to Japan, arrived in San Francisco, and were introduced as "Corean Refugee, exiles from the Hermit Nation, a hidden country," in the local San Francisco Chronicle. 

  • Park Young-hyo soon returned to Japan and changed his name to Yamazaki Eiharu to avoid assassination threats. While living in seclusion at an American church in Yokohama, he filed to the king a lengthy reform appeal claiming Joseon's independence and prosperity by abolishing the feudal caste system and establishing a modern rule of law. 

  • Seo Jae-pil, who moved to Philadelphia in 1886, was greatly impressed by the American spirit of independence, which sought freedom and prosperity from the British colony. 

  • In 1888, Kang Jin-hee, an interpreter and artist who worked for Park Jeong-yang, the first Ambassador of Joseon to the U.S., painted local landscapes in the U.S. for the first time as a Korean.

  • In 1888, Yun Chi-ho moved to the U.S. to study at Vanderbilt University and Emory University, where he broke away from the Confucian framework and embraced liberal ideas. He frequently cited the phrase "Freedom has never been a bequest; it has been a conquest." by Booker T. Washington, a black American activist, which was also cited in Shim Hoon's novel about rural development <Evergreen tree> (1935). 

  • In 1888, Seo Jae-pil began to use a new name, Philip Jaisohn, and became the first Korean to receive U.S. citizenship on June 10, 1890, at a time when it was extremely difficult for Asians to acquire citizenship. He entered the medical school of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and became the first Korean-American Doctor. He met Muriel Armstrong, daughter of George Buchanan Armstrong, who founded the Railway Postal Service during the Civil War, and married her in 1894.


1885년 개화파의 미국 망명과 서구적 근대의 습득

  • 일본에 망명해 있던 서재필, 박영효 등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고 현지 신문 크로니클에 ‘은둔의 나라 한국에서 온 망명자들’이라고 소개된다.

  • 박영효는 곧 일본으로 돌아와 자객들의 살해 위협을 피해 야마자키 에이하루(山崎永春)라고 이름을 바꿨다. 그는 요코하마에 있는 미국 교회에 은거하면서, 봉건적 신분제 철폐, 근대적 법치국가의 확립에 의한 조선의 자주독립과 부국강병을 주장하는 장문의 개혁 상소인 개화건백서(開化建白書)을 올렸다.

  • 1886년 필라델피아로 이주한 서재필은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자유와 번영을 추구했던 미국 독립정신에 크게 감명을 받았다.

  • 1888년 박정양 초대 주미공사를 수행한 통역관이자 서화가였던 강진희가 조선인 최초로 미국 현지 풍경화인 ‘화차분별도’를 그렸다.

  • 1888년 윤치호는 미국으로 건너가 밴더빌트 대학과 에모리 대학에서 수학하면서, 유교적 틀에서 벗어나 자유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심훈의 <상록수(1935)>에도 나오는 미국 흑인 운동가 부커 T. 워싱턴의 “자유는 선물이 아니라 정복”이라는 말을 자주 인용했다.

  • 1888년 서재필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고 1890년 6월 10일 한인 최초로 미국 시민권을 받았다. 아시아인이 시민권을 취득하는 것이 극도로 어려웠던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는 조지워싱턴대학 의과대학에 입학하고 한인 최초로 미국 의학사 학위를 받았다. 남북전쟁 당시 철도우편국을 창설했던 조지 뷰캐넌 암스트롱의 딸인 뮤리엘 암스트롱을 만나 1894년 결혼했다.


1894 Kim Ok-kyun was assassinated Kim, the mastermind of the Gapsin Coup, was shot to death in Shanghai by an assassin sent by Queen Min's family carrying the Qing Dynasty on their back. The assassin Hong Jong-woo was the first Korean who studied in France. Yukichi Fukuzawa brought some pieces of Kim's shattered body, set up a grave at Bunkyo shrine in Tokyo, asserted on Good-bye Asia, declaring a breakup with Asian neighbors.

1894년 김옥균 피살 갑신정변의 주역인 김옥균이 청나라를 등에 업은 민씨 척족이 보낸 자객에 의해 상하이에서 저격, 피살당한다. 자객 홍종우는 조선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이었다.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는 김옥균의 조각난 시신 일부를 가져와 도쿄 분쿄구의 진정사에 묘소를 마련하고 탈아론을 주장하며 아시아 주변국과 결별을 선언한다.

1895 Seo Jae-pil's return to Joseon and modernization movement 

  • Seo returned to Joseon in December 1895 at the recommendation of Park Young-hyo, who he met again in Washington D.C. in 10 years, and became a member of the Emperor's Advisory Committee. He refused to hold a government post, but published the first modern daily newspaper in Korea <The Independent> and founded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During his exile in the U.S., Seo was greatly influenced by vigorous community services and reform movements through newspapers.

  • <The Independent> was published in pure Korean (without Chinese characters) and English editions. In his first editorial written in colloquial Korean, Seo introduced the idea of Western civil rights and emphasized the practice of modern rule of law. In addition, he opposed the encroachment of interests by the powers and advocated the protection of sovereignty, raising the spirit of independence. He also held lectures and forums to enlighten and form public opinion.


1895년 필립 제이슨(이하 서재필)의 귀국 및 근대화 운동

  • 10년만에 워싱턴에서 다시 만난 박영효의 권유로 같은 해 12월 조선으로 돌아가 중추원 고문이 되었지만, 관직을 맡지 않고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를 만들었다. 그는 미국에서 망명생활을 하던 당시 신문의 발행부수와 지면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신문을 통해 사회봉사와 개혁 운동이 활기차게 벌어지던 모습에 큰 영향을 받았었다.

  • 최초의 근대적 일간지인 <독립신문>은 순 한글과 영문판을 간행되었다. 서재필은 순한글, 구어체로 쓴 창간호 사설에서 미국을 모델로 하는 민주주의 지향을 밝히면서, 천부인권설에 바탕을 둔 서구 민권 사상을 소개하고, 나라의 모든 일은 법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근대적 법치주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또한, 열강의 이권 침탈에 반대하고 주권 수호를 주장하면서 자주독립 의식을 고취하였다. 계몽과 여론형성을 위해 강연과 토론회도 개최했다.


1902 Immigration to Hawaii began 

  • On December 22, 1902, 121 Koreans left Jemulpo Port in Incheon to work at sugar cane farms in Hawaii. In Nagasaki, Japan, 102 people, excluding some drop-outs, transferred to the U.S. merchant ship SS Gaelic and arrived in Honolulu on January 13, 1903. In 2005, the U.S. House and Senate passed resolutions in support of designating January 13 as "Korean-American Day." 

  • At that time, the U.S. government accepted Koreans to check Japanese immigrants who had been expanding their power by moving to Hawaii and California since 1894. 

  • Half of the first Korean immigrants were from Naeri Church, which started from where the Appenzellers arrived in Jemulpo and worshiped for the first time in 1885. 


1902년 하와이 이민 시작

  • 1902년 12월 22일 121명의 한인이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인천 제물포항을 출발했다. 일본 나가사키에서 낙오자를 제외한 102명이 미국상선 S.S. Gaelic호로 갈아타고 1903년 1월 1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하였다. 2005년 미국 상하원은 1월 13일을 ‘미주 한인의 날’로 지정하는 결의를 통과시켰다.

  • 당시 미국 정부는 1894년부터 하와이와 캘리포니아로 이주해 세력을 넓혀가고 있던 일본계 이민자들을 견제하기 위해 하와이로 한인 이민자들을 받아들였다.

  • 첫 하와이 이민자의 절반 가량은 1885년 아펜젤러 부부가 제물포에 도착해 처음 예배를 드린 곳에서 시작된 내리교회에서 배출되었다.


1910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and Rhee Syngman's settlement in Hawaii 

  • Imperial Korea perished by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Rhee returned home from his studies at Harvard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But when Japan suppressed Christian independence activists with the "105-man Incident" in 1912, he felt threatened and chose to go back to the U.S.

  • Rhee campaigned for independence based in Hawaii for 25 years until moving to Washington, D.C. in November 1939. The reason why he settled in Hawaii was that he believed it would be a strategically important place if the U.S. and Japan would compete for hegemony in the Pacific in the future. Based on the support of nearly 5,000 Korean residents in Hawaii, Rhee focused on diplomatic activities such as petitions to the U.S. Congress and the administration, propaganda and appeals to ordinary citizens and public opinion. 


1910년 대한제국의 멸망과 이승만의 하와이 정착 

  • 한일병합조약 체결로 대한제국이 멸망했다. 이승만은 하버드 대학교와 프린스턴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치고 귀국하였으나, 1912년 ‘105인 사건’이 일어나자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다시 미국행을 선택한다.

  • 이승만은 1939년 11월 워싱턴 D.C.로 이주하기까지 25년간 하와이를 본거지로 독립운동을 벌였다. 그가 하와이에 정착한 이유는 장차 태평양의 패권을 두고 미국과 일본이 다투게 되면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 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승만은 5,000명에 가까운 하와이 교민들의 지원을 바탕으로, 미국 의회와 행정부에 대한 청원, 일반 시민과 여론에 대한 선전 및 호소 등 외교활동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1910 through 1925 Immigration of picture brides During this period, 951 Korean picture brides came to Hawaii and 115 to the U.S. mainland. 

1910년부터 1925년까지 사진 신부의 이주 이 기간 중 하와이로 시집온 한인 여성은 951명, 미국 본토로 온 여성은 115명이나 된다.

1919 March 1st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abroad 

  • Seo Jae-pil quit his job and launch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S.. On Apr. 14, 1919, he, with Rhee Syngman, held the first Korean Congress in Philadelphia, the cradle of the American independence movement, and marched from Little Theater to the Independence Hall.

  • Later in 1919, Rhee Syngman established the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in Washington, DC. 


1919년 3・1운동과 해외에서의 독립운동 

  • 서재필은 생업을 접고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고 1919년 4월 14일 이승만과 함께 미국 독립운동의 요람인 필라델피아에서 한인 자유대회를 개최하고, 리틀 극장에서 독립기념관까지 시가행진을 했다.

  • 1919년 이승만은 미국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부'를 설립하였다.


March 1919 Moscow established the Comintern and led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1919년 3월 모스크바에서 ‘코민테른’ 창설,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총지휘


August 1941 Rhee Syngman's 「Japan Inside Out」 publication and VOA radio address next year 

  • As the book predicted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Japan was imminent, Imperial Japan attacked Pearl Harbor on December 7, 1941, His book became very popular in the U.S.. In June 1942, the U.S. defeated Japan in the Battle of Midway, and in June and July President Rhee's speech was broadcast several times in the "Voice of America," which was based at the San Francisco office of the Foreign Information Service. 

  • "It is in our hands at this time to restore our freedom. So, struggle! Fight! We must shed blood to restore the foundation of freedom for all generations. Fight! My dear 23 million compatriots!" 

  • After the speech, the national anthem sung by a Korean female soprano rang out. It was not the 'old' national anthem sung by inserting the lyrics written by Yoon Chi-ho into the tune of the Scottish folk song 'Auld Lang Syne,' but the 'new' national anthem composed by Ahn Ik-tae. 


1941년 8월 이승만의 「Japan Inside Out」 출간과 이듬해 미국의 소리(VOA) 라디오 연설

  • 미국과 일본 간 충돌이 임박했다고 내다본 이 책의 예상대로 일본제국은 1941년 12월 7일 진주만을 기습 공격한다. 이후 「Japan Inside Out」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된다.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국이 일본을 격퇴하고, 6월 및 7월 미국전쟁정보부 샌프란시스코 사무소에 본부를 둔 '미국의 소리'에서는 이승만 대통령의 연설이 수차례 방송되었다.

  • "우리의 자유를 회복할 것이 이때의 우리의 손에 달렸으니 분투하라! 싸워라! 우리가 피를 흘려야 자손 만대의 자유 기초를 회복할 것이다. 싸워라! 나의 사랑하는 2,300만 동포여!"

  • 연설 뒤에는 한인 여성 소프라노가 부르는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윤치호가 쓴 가사를 스코틀랜드 민요 ‘석별의 정’ 곡조에 삽입해 부른 ‘구 애국가’가 아니라, 안익태 작곡의 새 애국가였다.


August 15, 1945 Liberation from Japan At the time of liberation, there were about 700,000 Japanese in Korea, 2.9% of the total Japanese population, while about 2.7 million Koreans were in Japan, and about 700,000 of them remained in Japan after liberation, forming the basis of Korean-Japanese. 

1945년 8월 15일 해방 해방 당시 재조선 일본인은 약 70만명으로 전 인구의 2.9%, 반면에 일본에 체류 중인 조선인은 약 270만명이었는데, 해방 이후에도 이들 중 70만명 정도가 일본에 남아 재일교포의 원류를 이루었다.

August 19, 1945 Park Heon-young, a communist, announced <August Themes> He specifically presented the first step in the program to drive a socialist revolution in Korea. 

1945년 8월 19일 공산주의자인 박헌영의 <8월 테제> 발표 한국에서 사회주의 혁명으로 가는 프로그램의 첫걸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1948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Constitutional Assembly elections was held in May 1948 under the U.N. supervision. Rhee Syngman was ele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ROK in the National Assembly in July.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OK was declared on August 15. 

1948년 대한민국 건국 1948년 5월 유엔 감시하에 제헌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고, 7월 국회에서 이승만이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8월 대한민국 정부수립이 선포되었다.

June 25, 1950 at 04:00 A.M. The Korean War broke out 

  • Kim Il-sung, who gained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Stalin of the Soviet Union and Mao Zedong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tarted a war by surprise without declaring it. 16 U.N. member states, including the U.S., sent troops to protect liberal democracy in Korea. After General MacArthur carried out Operation Chromite to land at Incheon on September 15, he crossed the 38th parallel to the Yalu River, but later that year had to retreat back south of the 38th parallel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Army, and Seoul was taken again on January 4, 1951. (It is called the January-4th Retreat.) 

  • Heungnam Evacuation (a.k.a Operation Christmas Cargo) in December 1950, was the largest humanitarian operation in the U.S. history to withdraw U.N. forces, Christians and refugees who wanted to escape the oppression of communists from Heungnam Port in North Korea. 

  • In December 1950, Colonel Russell L. Blazedel, a U.S. Air Force Chaplain, conducted Operation Kiddy Car, which airlifted more than 1,000 orphans from Seoul to Jeju Island. He is called the "Father of Korean War orphans."

  • The Korean War caused more than 10 million separated families and 100 thousand war orphans.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6.25 전쟁 발발 

  • 소련 스탈린과 중공 마오쩌둥의 협조와 지지를 얻은 김일성은 선전포고 없이 기습적으로 전쟁을 개시하였다. 미국을 포함한 유엔 16개 회원국이 한국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파병한다. 9월 15일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 이후 38선을 넘어 압록강 부근까지 진격했지만, 중국군의 개입으로 38선 이남으로 후퇴, 1951년 1월 4일에는 서울을 다시 빼앗겼다(1.4 후퇴).

  • 1950년 12월 흥남철수작전은 북조선 흥남항에서 유엔군과 기독교 신자들, 공산주의자들의 압정을 피해 남으로 가는 피난민들을 함께 철수시킨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도주의적 작전이었다.

  • 1950년 12월 미 공군 군목 러셀 L. 블레이즈델 대령은 ‘유모차 공수 작전(Operation kiddy car)을 실시, 1000명이 넘는 고아들을 수송기 편대로 서울에서 제주도로 이동시켰다. 그는 ‘한국 전쟁고아의 아버지’로 불린다.

  • 6.25 전쟁으로 1천만명 이상의 이산가족과 10만명 이상의 전쟁 고아가 발생했다.


July 27, 1953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between the Commander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on the one hand,  and the Commander of the North Korean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1953년 7월 27일 유엔군 총사령관-조선인민군 최고 사령관,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간 정전협정 체결

October 1, 1953 The Republic of Korea-U.S. Mutual Defense Treaty was signed
The treaty, signed in Washington, D.C., between ROK Foreign Minister Byeon Yeong-tae and U.S. Secretary of State John Foster Dulles, became the legal basis for the Republic of Korea-U.S. alliance.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서명 워싱턴 D.C.에서 변영태 한국 외무장관과 존 포스터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간 조인된 이 조약은 한미동맹의 법적 기반이 되었다.

1953 through 2021 Overseas adoption

  •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ROK'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re than 170,000 Korean children were adopted overseas during the period, with more than two-thirds of them being sent to the U.S.. In particular, most of the mixed-race children were adopted abroad. 

  • Since 1952,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d reportedly sent more than 10,000 war orphans to the Eastern Bloc, which was an initiative led by the Soviet Union. 


1953년부터 2021년까지 해외 입양 

  • 한국 보건복지부의 통계에 따르면, 동 기간 중 16만 9000여 명의 아동이 해외로 입양되었고, 2/3 이상이 미국으로 보내졌다. 특히, 혼혈아동인 경우 대부분 해외로 입양되었다.

  • 1952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소비에트 연방 주도로 1만명 이상의 전쟁 고아들이 동구권으로 보내졌다고 한다.


1954 Adoption of war orphans by Harry and Bertha Holt Harry Holt, from Oregon, U.S., after watching documentaries about Korean War orphans in a special lecture by World Vision founder Bob Pierce, decided to devote his life to giving these children home. In 1955, with the help of the members of the U.S. Congress, the <Holt Act> got passed, which increased the number of children available for adoption for a family from two to eight. In 1956, the Holts established the 'Holt Adoption Society' in Korea and started a full-fledged adoption project. 


1955년 홀트 부부의 전쟁고아 입양 미국 오리건 주 출신 해리 홀트는 월드비전 창시자 밥 피어스의 특별 강연에서 한국전쟁 고아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고 자신의 일생을 이 아이들에게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주는 일에 바치기로 결심한다. 그는 1955년 오리건 주 상하원의원의 도움으로 한 가정에 입양 가능한 아동 수를 2명에서 8명으로 확대하는 <홀트 법>을 통과시켰다. 홀트 부부는 1956년 자신들의 이름을 딴 '홀트씨 양자회'를 한국에 설립하고 본격적인 입양사업에 나섰다.


1960s Musicians from the 8th U.S. Army stages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pop 


1960년대 미8군 무대 출신 음악인들과 한국 가요의 국제화


1960 Kim Sisters' appearance on the Ed Sullivan Show The Ed Sullivan Show was a popular show where only top singers such as Elvis Presley, the Beatles, and the Rolling Stones could stand. Kim Sisters, who played more than a dozen instruments freely, including gayageum, janggu, saxophone and bass, were called "Witches from Asia" and gained explosive popularity in the U.S.

1960년 김시스터즈의 에드 설리번 쇼 출연 에드 설리번 쇼는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롤링 스톤즈 등 인기 정상의 가수들만 설 수 있었던 인기 쇼였다. 가야금, 장구, 색소폰, 베이스 등 십여 개가 넘는 악기를 자유자재로 연주하는 김시스터즈는 이후 '아시아에서 온 마녀들'로 불리며 미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는다.

1961 "The Man in a Yellow Shirt" (written and composed by Son Seok-woo, sung by Han Myung-sook) was released At that time, the song's excellence caused a great stir enough to completely change the trend of Korean pop music in the 1960s. In 1963, French chanson singer Yvette Giraud sang the song at the Seoul Civic Center and became popular. The song became the originator of the so-called 'Korean Wave,' gaining popularity in the music scene in Southeast Asia and Japan.  

1961년 <노란 샤쓰의 사나이> (손석우 작사・작곡, 한명숙 노래) 발표 당시 이 노래의 파격은 1960년대 한국 가요의 흐름을 완전히 뒤바꿀 만큼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63년 프랑스의 샹송가수 이베트 지로(Yvette Giraud)가 서울 시민회관에서 이 노래를 불러 인기를 모았으며, 동남아시아와 일본의 가요계에서 유행하며 속칭 ‘한류’의 원조가 된다.

1988 Seoul Olympics and Korea Koreana, a four-member group formed by brothers Lee Seung-kyu and Lee Yong-kyu, who performed on the 8th U.S. Army stages, sang the official theme song of the 1988 Seoul Olympics, "Hand in Hand," composed by Italian Georgio Moroder. 

1988년 서울올림픽과 코리아나 미8군 무대에서 활동한 이승규, 이용규 형제가 주축이 되어 결성한 4인조 그룹 코리아나는 이탈리아 조르조 모로더가 작곡한 1988년 서울 올림픽 공식 주제곡 <손에 손 잡고>를 불렀다.

2002 Verdi's Opera <Nabucco> performed by New York Metropolitan Opera, conducted by James Levine 

In <Va pensiero> (a.k.a chorus of the Hebrew slaves) are well expressed the desperate, gloomy longing for home of the slaves who were taken to Babylon, and their wishes to get their country back.

Where warm and soft and fragrant are

the breezes of our sweet native land!

Greet the banks of the Jordan, the towers of Zion

 

Oh my homeland, so beautiful and lost!

Oh memories, so dear yet unhappy!

 

Rekindle the memories within our hearts,

tell us about the time that has gone by!

or similar to the fate of Solomon, give a sound of lament;

or let the Lord inspire us to endure our suffering.


 2002년 제임스 레바인 지휘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베르디 <나부코> 공연 

<날아가라 내 마음아> (일명,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에서 바빌론에 끌려간 노예들의 절망적이고 암담하지만, 고향을 그리는 마음과 나라를 되찾을 수 있을 거라 소망하는 모습을 감동적으로 표현하였다.

훈훈하고 다정한 향기로운 내 고향의 산들바람

요르단강의 강둑과 시온의 탑들이 우리를 반겨주네

 

오, 지금은 잃어버린 아름다운 나의 조국

오, 소중한, 그러나 절망으로 가득 찬 기억들

 

우리 기억에 불을 붙여, 지나간 시절을 이야기 해다오

솔로몬의 운명처럼 비탄의 노래를 부르자

이 고통을 참을 수 있도록, 주님께 용기를 간구하라


 
Taehyun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