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sporic Senses / 디아스포라적 감각


 “Lift me to the window to the picture image unleash the ropes tied to weights of stones...” - Theresa Hak Kyung Cha, Dictée (1982)

The German word "Unheimlich," which means eerie, etymologically means "unfamiliar, different from home," or "losing home" to exaggerate. Many contemporary artists assimilate to themselves a stranger hidden from the familiarity of the world, through migration, evacuation, and exile in their lives.

“나를 창문으로, 그 그림의 영상으로, 올려주세요, 암석의 무게에 매여있는 밧줄들을 풀어주세요.” - 차학경, 딕테 (1982)

섬뜩함을 뜻하는 독일어 ‘운하임리히(Unheimlich)’는 어원적으로 ‘집과는 다른 낯섦’, 비약하자면 ‘고향 잃음’을 뜻한다. 현대의 많은 예술가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이주로, 피난으로, 망명으로, 세계의 친숙함으로부터 감춰진 낯선 타인을 자신에게 동화시킨다.


박유아 Park Yoo-ah, 1961-

Born in Seoul,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New York, NY, USA 

한국 서울 출생 | 현재 미국 뉴욕 거주

In Park Yoo-ah's works, each title is a combination of abbreviations of "year of birth," "year of adoption," and "country of adoption." The adoptee's face is in close-up in the form of an identification photo that contains his/her identity. The artist said she wanted to paint their faces in the form of a portrait of a great figure, capturing the looks at their happiest moments. The faces with all different background colors seem to show no less subtle unfamiliarity than familiarity as if you've met them before.

박유아의 각 작품 제목은 '출생연도'와 '입양 연도' 그리고 '입양 국가'의 약자로 조합된 기호다. 입양인의 얼굴은 정체성을 담은 증명사진 형식으로 클로즈업 되어있다. 작가는 위인 초상화의 형식으로 가장 행복한 순간의 표정을 포착해 그들을 그려주고 싶었다고 한다. 배경색이 모두 다른 얼굴들은 마치 어디서 본 듯한 친근함과 익숙함만큼이나 미묘한 낯설음을 보여주는 것 같다.


박근호 Park Keun-ho Peter, 1984-

Born in Columbus, Ohio, United States | Currently living in Philadelphia, PA, United States

미국 콜럼버스 오하이오 출생 | 현재 미국 필라델피아 거주

Reproduced here is part of the wall in Keun Ho Peter Park's woodwork studio. Influenced by the Do-it-Yourself spirit of the punk genre, the artist is exploring forms, tones, and structures that have never existed before by making guitars inspired by characters in cartoons (like Casper) and stories, animals and plants as well as American traditional instruments like Canjos and Cigar box guitars, which originated from handmade instruments that plantation slaves fashioned with cast-off parts.

Park wanted to recreate the childhood experience of riding piggyback on his dad, and created this piggyback chair after creatures or animals reminiscent of piggyback. When looking at objects with functions, he personifies them as the living and treats them like living organisms with personality, naturally coming to create some organic forms. 

박근호의 목공 작업실 벽면 일부를 전시공간으로 가져왔다. 작가는 펑크 장르의 DIY(Do it Yourself) 정신에 영향 받고 미국 빈곤층 문화에서 비롯한 미국 전통 악기 캔조나 시가박스 기타 또는 캐스퍼같은 만화 캐릭터나 이야기 속 인물, 동식물에서 영감을 받은 기타를 제작하며 기존에 없던 조형과 음색, 구조를 탐색하고 있다.

아빠 등에 무등 타는 경험을 재구현하고 싶어 그 동작에서 연상되는 생물체나 동물에서 연결지어 나온 형태가 피기 백 체어이다. 기능을 갖는 물체를 볼 때 살아있는것처럼 의인화하고 성격이 있는 생물체로 다루면서 작가는 자연스레 사물들의 어떤 유기적인 형태에 도달하게 된다.


손해원 Sohn Hae-won, 1992-

Born in Seoul,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New York, NY, USA

한국 서울 출생 | 현재 미국 뉴욕 거주

Sohn Hae-won breaks a plaster mold in the casting process, and from the irregularly split mold, builds the next mold that has either morphological connections or no predictable connections at all. A mold for cloning becomes a single work in itself, not a means. And, trials and errors that were not aimed at success, make the broken mold grow anew through the imagination of failure.

손해원은 캐스팅 과정의 석고 몰드를 깨뜨리고, 불규칙하게 갈라져 나온 몰드로부터 전혀 예측할 수 없거나 형태적 연계성을 가지는 다음 단계의 몰드를 쌓아간다. 복제를 위한 몰드는 수단이 아닌 그 자체로서 유일한 작품이 되고, 성공을 목표로 하지 않았던 시행착오는 그 실패의 상상력으로부터 깨진 몰드를 새로 자라나게 한다.


임충섭 Lim Choong-sup, 1941-

Born in Jincheon, North Chungcheo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New York, NY, USA

한국 충청북도 진천 출생 | 현재 미국 뉴욕 거주

In Lim Choong-sup's paintings, forms gradually disappeared, and canvases became shaped, got bigger, and changed into a monochromatic tone. Here, the assemblage of "found objects"⸺he says things have memories, the untitled work depicting Chinese character "心," which means 'feeling,' with strokes that resemble waves in the sea, and the shaped canvas work <Pinafore> lead to memories of his hometown Jincheon and his family beyond nature and civilization.

임충섭 그림 속의 형태들은 점차 사라져 갔고, 캔버스는 변형(Shaped Canvas) 되어 커지며 단색조로 변하기 시작했다. 사물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그의 ‘발견된 오브제’들의 아상블라주와, 바다에서 파도가 치듯 획을 그리는 <마음 심>, 변형 캔버스 작업 <앞치마>는 자연과 문명 너머의 고향 진천과 가족의 기억으로 이어진다.


유현경 You Hyeon-kyeong, 1985-

Born in Cheongju, North Chungcheo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Berlin, Germany

한국 충청북도 청주 출생 | 현재 독일 베를린 거주

You Hyeon-kyeong's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strange and odd. It is not a typical look, either holy or great. It feels like the skin and bones were crushed and detached, completely out of joint and dislocated. I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a powerful and destructive physical impact she experienced rather than a non-material stimulus. This was her first drawing in her hospital bed after her body had been messed up in a fatal car accident caused by reckless bikers.

유현경의 관세음보살은 낯설고 이상하다. 거룩하거나 위인과 같이 전형화된 모습이 아니다. 피부 거죽과 뼈대가 으스러지거나 어긋나 탈골되고 전치된 느낌이다. 이는 비물질적인 자극이 아닌, 작가가 직접 몸으로 경험한 강력하고 파괴적인 물리적 충격과 관계있을 거라 생각된다. 작가가 폭주족으로 인해 치명적인 차사고를 당하고 몸이 한 번 들렸다가 내려온 뒤 병원에서 일어나 처음 드로잉한 작품이다.


김구림 Kim Ku-lim, 1936-

Born in Sangju-gun, North Gyeongsang Province,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urrently Sa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Seoul, Republic of Korea

일제시대 조선 경상북도 상주군 출생(현재 한국 경상북도 상주시) | 현재 한국 서울 거주

Kim Ku-lim, one of the central figures of the Korean avant-garde art movement in the 1960s and 70s and an art college drop-out, encountered contemporary art through magazines such as <Life> and <Time> that flowed into secondhand bookstores from U.S. military bases. Through the magazines, he learned about Jackson Pollock's action painting, John Cage, Stockhausen, and contemporary dancer Cunningham, and absorbed arts from various fields, including fine arts, music, theater, and dance.

In 1970, Kim presented his major land art <From a phenomenon to a trace> which left a trace of a triangle by burning grass in a huge triangular shape. Later, he moved to Japan to learn engraving, and created a series of works on the subject of everyday objects.

Kim describes an object realistically; or leaves only traces of rough brushwork; or writes the name, location, size, distance, etc. of an object with charcoal, crosses out or erases the traces. In the end, he makes disappear the objects that are pointed at, and repeats the act of leaving only the traces of such actions and the clues of pointing.

It could be his strategy to deliberately delay a definite meaning by highlight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signifiers (signifiant) that represent objects. By presenting objects―whether in perfect shape or disappearing―only by outlines, he repeatedly denies the presentness and true nature of the objects, and presents the traces or deviations of existence, or an ironic, mysterious and uneven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ace.

He left for the United States in 1984, worked on his art there, and returned to the Republic of Korea in 2000.

1960년대와 70년대 한국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중심인물 중 한 명인 김구림은 미술대학을 자퇴하고, 헌책방에서 미군 부대에서 나온 잡지 <라이프>와 <타임>를 통해 현대 예술을 만났다. 그는 잡지를 통해서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과 존 케이지, 슈톡하우젠, 현대무용가 커닝햄 등을 알게 되고 미술, 음악, 연극, 무용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을 흡수했다.

1970년 김구림은 거대한 삼각형 모양으로 잔디를 불로 태워 삼각형의 흔적을 남긴 그의 대표적인 대지미술 <현상에서 흔적으로>를 선보였다. 이후 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판화를 배웠고 일상의 사물을 주제로 하는 일련의 작품을 만들었다. 작가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또는 거친 붓질의 흔적으로만 남겨 두거나, 사물의 이름과 위치나 크기, 거리 따위를 목탄으로 쓰거나 긋고 또는 그 흔적을 지워 버린다. 결국 가리키는 대상은 사라지게 하며, 그러한 행위의 흔적과 가리키려는 단서만 남기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대상을 표상하는 기표signifiant들 간의 시차를 부각시키며, 확정된 의미를 고의로 지연시키는 전략이 아닐까? 형태를 온전히 갖춘 사물과 소멸되어 가는 사물을 대상의 윤곽만을 제시함으로써 사물의 현존성과 실체를 반복적으로 부정하면서 현존의 흔적이나 어긋남, 즉 아이러니하고 불가사의한 어떠한 불균일한 공간과 시간과의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작가는 1984년 미국으로 떠나 활동하다 2000년에 한국으로 귀국했다.


양달석 Yang Dal-suk, 1908-1984

Born in Geoje, South Gyeongsang Province, Imperial Korea | Died in Busan, Republic of Korea 

대한제국 경상남도 거제시 출생 | 한국 부산 사망

When thinking of Yang Dal-suk, many people recall the typical example of his fantastic paintings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shepherd, in which cows and boys play together, entangled as one like in paradise. But this drawing is different from his typical utopian style.

For being elected Chairman of the Busan Artists' Alliance while the country was liberated from Japan, but still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 was branded as a leftist, taken to the police and tortured. To survive, he served as a naval military painter during the Korean War and captured in his drawings the sceneries of war-torn towns such as Sacheon and Mokpo, and the scenes of handling prisoners of war.

His history of joining the artists' alliance alienated him from the artist community in the dominant anti-communist atmosphere at that time. Under the situation, perhaps he could not but to hide himself into self-censorship and utopia, indulging only in the idyllic and innocent art world, through which he developed his own artistic aesthetics.

This drawing is a valuable work that shows the aspect of Yang Dal-suk as a realist before he acquired his typical painting style in the 1960s.

"I paint as if I were writing a fairy tale, like a contradiction where you have to laugh even though you are being beaten up, where you have to enjoy yourself happily in the face of bitter hardship..."

양달석을 떠올리면 많은 사람들은 그의 목동시절 경험에 기반한 낙원처럼 소와 소년이 뒤엉켜 하나가 된 듯한 환상적인 그림의 전형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이 소묘작품은 그의 전형적인 유토피아적 화풍과 다르다. 

그는 미군정 하의 해방공간에서 부산미술가동맹의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는 이유로 좌익으로 몰려 경찰에 끌려가 고문을 당했다. 그는 생존을 위해서 6.25 전쟁 당시 해군 종군화가로 참여해 전쟁 중의 시가지 풍경과 사천과 목포 풍경, 포로 송치 장면 등을 소묘로 담아냈다. 

미술가 동맹에 가담했다는 전력은 반공이 지배하던 분위기에서 그를 화단으로부터 소외시켰다. 어쩌면 그는 오직 목가적이고 순수한 예술세계를 탐닉할 수밖에 없는 조건 하에서 자기 검열과 유토피아 속으로 스스로 숨어 들어가야만 했고, 이로부터 자신의 고유한 예술적 미학을 갖게 된다.

이 그림은 1960년대 이후 양달석 특유의 전형적인 화풍이 나타나기 전 리얼리스트로서의 양달석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귀한 작품이다. 즉 그의 유토피아는 현실이 부재한 유토피아가 아니라, 철저히 현실에 바탕을 둔 반대급부로서의 유토피아이다. 평화 가득한 원생의 자연에 뛰노는 티 없이 순박한 동심의 세계에 대해 작가가 남긴 단문이 있다.

“동화를 쓰는 기분으로 그림을 그린다. 마치 아픈 매를 맞으면서도 웃어야 하고 찢어질 듯한 역경에서도 마음만은 행복하게 즐겨야 하는 모순처럼...”


이상국 Lee Sang-guk, 1947-2014

Born in Seoul, Joseon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 Died in Goyang,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미 군정기 조선 서울 출생 | 한국 경기도 고양시 사망 

Lee Sang-guk did not lose sight on a main street or Inwang Mountain that commonly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of 'Seochon (West Village).' He rather paid attention to the Hanok alleys in Nuha-dong, Seochon, where urban Hanoks (traditional Korean houses) are concentrated, depicting the landscape with woodcut as if you are looking down at it on a dark night.

There is an atmosphere of alleys that whoever has visited Nuha-dong alleyways would know, which comes from such things that are characteristic of Nuha-dong: old buildings; narrow passages; the rafters of Hanok; mountains and houses, and streets and houses blending in harmoniously, etc.

Lee is one of the closest artists to the so-called 'people's art' in that he shows what we are going through and living through without distortion. Prints in Korea in the 1970s and 80s often carry strong political or ideological messages, but Lee's prints, unlike others, contain a lot of artistic lyricism.

While using a knife on a wooden board, he did not apply too much sharp straight cuts, but allowed some relaxation, creating a certain pictoriality in the work. When you look at this work, objects that were not seen at first are gradually revealed, and when you look at it for a long time, you feel like you have entered into the work and are walking in the neighborhood of Nuha-dong. Lee's woodblock prints have such magic to draw viewers into the work and have them to be part of it. 

그는 ‘서촌’이라고 하면 흔히 떠올릴 만한 큰 길이나 인왕산 등에 눈을 빼앗기지 않는다. 어스름한 밤 도시 한옥이 밀집한 누하동 골목을 내려다보는 듯한 그런 느낌으로 누하동 한옥골목을 목판화로 묘사했다.

누하동 골목을 다녀본 사람이 아는 골목의 정취라는 것이 있다. 누하동의 특징인 옛날 건물들과 좁은 길, 한옥의 서까래, 산과 집이 어울려 있고 길과 집이 어울려있는 모습까지.

이상국은 우리가 겪고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왜곡시키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소위 ‘민중미술’에 가장 가까운 작가 중 하나이다. 1970-80년대의 판화들은 정치적인 목적의 메시지가 강하거나 이데올로기가 담겨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상국 작가의 판화는 그와 달리 예술적 서정이 많이 담겨 있다. 그는 목판에 칼을 사용하되 너무 지나치게 칼 맛을 중시하지 않고 약간 여유를 두면서 그 안에 어떤 회화적인 면이 들게 한다. 그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대상들이 점점 드러나고, 한참 보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내가 그 작품 속에 살짝 들어가서 그 동네를 거닐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이렇게 보는 사람들을 작품 안으로 끌어 들이고 감상하는 사람들을 스며들어 가게 하는 마력을 가진 것이 이상국의 목판화다.


주정이 Ju Jeong-i, 1944-

Born in Gimhae-gun, South Gyeongsang Province,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urrently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일제시대 조선 경상남도 김해군 출생(현재 한국 경상남도 김해시) | 현재 한국 경상남도 김해시 거주

Ju Jeong-i, a Vietnam War veteran, has worked on woodblock prints since the mid-1970s. He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woodprints through more than 1,000 woodcut illustrations for newspaper serials. His engraving with 'tasty knifework' tells fantastic stories while showing the beauty of extreme restraint.

Ju said that he thought if he would depict a person floating in the sky, it might as well be a person who seems to be dreaming or whose mind comes and goes. Then, the story of "Auntie outside the East Gate" came to his mind, leading to this work.

When he was young, there was a woman in his hometown who sleepwalked. People called her "Auntie outside the East gate" because she lived near the East gate. The villagers gossiped about the woman walking around the street at night, "She's slightly deranged"

She was searching here and there for her husband who actually had already been executed after being branded as a red. When asked, "Where have you been?" she answered, "I've come from meeting my husband," he recalled.


주정이 작가는 월남전에 참전한 뒤에, 70년대 중반부터는 목판화 제작에 매달려 신문소설의 삽화를 목판화로 무려 1000여회 이상 연재하며 목판화 대중화에 힘썼다. 주정이 작가의 ‘칼맛 나는 판화’는 극도의 절제미를 보여주면서도 환상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주정이 작가는 만일 하늘에 떠 있는 사람을 표현한다면 정신이 있는 듯 없는 듯 꿈꾸는 듯한 사람이라야 하지 않겠나 싶은 마음에 "동밖이모"가 떠올라 이 작업을 했다고 한다.

어릴 때 고향마을에 몽유병을 앓던 한 여자가 있었는데, 동문 근처에 산다고 사람들이 그녀를 "동밖이모"라 불렀다는 것이다. 밤에 거리를 돌아다니는 동밖이모를 보며 동네 사람들이 “그 여자 정신이 약간 이상해” 라고 수군거리던 기억이 불현듯 떠오른 것이다. 

사실 빨갱이로 몰려 처형당한 남편을 찾아 헤매는 그 여인에게 "어디 갔다 오느냐"고 물으면 그 여인은 "우리 신랑 만나고 온다."고 했다고 작가는 회고한다.


정보영 Jung Bo-young, 1973-

Born in Seoul,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Seoul, Republic of Korea

한국 서울 출생 | 현재 한국 서울 거주

Jung Bo-young forefeels that the fixed substance and shadow of an object do not remain fixed in the light of the midday afternoon. Through what is seen, she makes us sense what is not seen beyond.

정보영은 한낮 오후의 빛 속에서 대상의 고정된 실체와 그림자가 머물러 있지 않다는 것을 예감하고, 보이는 것들을 통해 그 너머의 보이지 않는 것들을 예감하게한다.


샌 정 Sen Chung, 1963-

Born in Jeonju,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Düsseldorf, Germany

한국 전주 출생 | 현재 독일 뒤셀도르프 거주 

Sen Chung, through the movement of rhythmic colors, creates a sense of atmosphere in the pictorial space that was concealed and stagnant in gray and white. The wind is not visible, but the movement that is already agitated in the space makes us imagine the convection outside and inside the canvas.

샌정은 율동을 가진 색채의 움직임을 통해 회백색으로 은폐되고 정체되어 있던 회화 공간에 대기감을 불러일으킨다. 바람은 보이지 않지만, 그의 여백에서 이미 동요하고 있는 움직임을 통해 캔버스 바깥과 안의 그 대류를 상상하게 한다. 


최상아 Choi Sang-ah, 1971-

Born in Seoul,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Mountain View, CA, USA

한국 서울 출생 |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거주

Choi Sang-ah starts drawing as if she were scribbling on a sketchbook. She doesn't have the idea of painting anything. Some start and grow as if spreading from the middle, and some only disappear. The artist said that when she felt like she herself was missing, she spent time drawing, wanting to become the sketchbook, and drew what she saw to see where she stops.

최상아는 스케치북에 끄적거리듯 드로잉을 시작한다. 뭘 그린다는 생각이 없다. 가운데에서 퍼지듯이 시작해 자라나는 것도 있고 그저 사라지는 것도 있다. 작가는 자신이 없어지는 느낌이 있을 때 스케치북이 자기 자신이고 싶은 시간으로 시간을 보냈고, 보이는 것들을 자기가 어디서 멈추는지 보기 위해 드로잉을 했다고 한다.


평해튼 Pyonghattan

- 이서현 Lee Seo-hyun, 1991-

Born in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New York, NY, USA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출생 | 현재 미국 뉴욕 거주 

- 이현승 Lee Hyun-seung, 1985-

Born in Wonsan, Gangwon Provinc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Currently living in Washington, DC, USA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원산 출생 | 현재 미국 워싱턴 DC 거주  

Pyonghanttan is a new coinage that combines Pyongyang and Manhattan, referring to the elite clas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th Korea"), and the name of a YouTube channel created by Lee Hyun-seung and Lee Seo-hyu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with their father, a former high-ranking official of Central Committee Bureau 39 of the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The siblings are "political exiles" who have settled in the U.S. and been engaging in political activities including YouTubing, while pursuing changes in North Korea and ultimate return to a democratized country, rather than usual "defectors" who assimilate themselves into the Republic of Korea. They are the next generation diaspora generated by the entrenchment of division⸺not by the immediate division after the Korean War⸺who want to reform North Korea to be a better country, and return home.

평해튼은 평양과 맨해튼을 합성한 신조어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조선’)의 엘리트 계층을 가리킨다. 노동당 39호실 고위 간부 출신 아버지와 북조선을 탈출한 이현승, 이서현 남매가 만든 유튜브 채널 이름이기도 하다. 이현성·서현 남매는 현재 스스로를 ‘탈북자’로서 한국에 귀화시키기 보다는 미국에 정착해 북조선 정권의 변화와 귀향을 염두에 두고 유튜브를 비롯한 정치활동을 하고 있는 ‘망명자’들이다. 이들은 북조선을 개혁하고 더 나은 북조선을 만들어 그곳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6.25 분단이 아닌, 고착된 분단에서 나온 다음 세대의 디아스포라들이다.


 
Taehyun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