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spora within Korea


Diaspora by Division

The Japanese Empire declared its surrender on August 15, 1945, shortly after the U.S.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and the Soviet Union's strategic offensive against Manchuria.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partitioned the Korean Peninsula along the 38th parallel in September 1945, with the Soviets occupying the North and the Americans occupying the South. With the Soviet decision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tate in the nor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nstitution was adopted at the 5th meet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ssembly on July 10, 1948 to establis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raising the North Korean flag in place of the Taegeukgi (Korean flag).

On August 15, 1948, the Republic of Korea (ROK) declared the establishment of its government, and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tensified. On June 25, 1950, the Korean War broke out with the illegal invasion by the DPRK, which was supported behind the scenes by the Soviet Union.

The diaspora inside the Korean Peninsula took place in the form of defection and evacuation to the South across the 38th parallel to flee Communism and war after liberation from Imperial Japan.

 <Diaspora by Division> deals with artists who mov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for political, ideological, or other reasons from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in 1945 until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became a fait accompli in 1953 due to the armistice.

The period of artists' escaping to the South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rtists who fled to the South before the war include Kim Young-joo, Kwon Ok-yon, and Park Ko-suk. Those who left amid the vortex of the January-4th Retreat, in which the ROK Army and UN forces withdrew from the North to south of Seoul due to the intervention and massive offensive of the Chinese army, include Kim Won, Lee Jung-seop, Choi Young-rim, Hong Jong-myoung, and Hwang Yoo-yup.

Their individual specificities, encompassing collective experiences of leaving their original residence and settling in an unfamiliar, but also not an entirely foreign place due to the permanent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nostalgia and sentimentality felt in their unfamiliar lives, soon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ir art creation and melted into their work.

Until now, the 'Korean Diaspora' has usually referred to Koreans who leave their homeland and work abroad. However, they can be viewed in the context of voluntary migration or immigration rather than involuntary or compulsory migration. Above all, they are not forbidden from visiting their country again to see and meet their families.

This section, recognizing that we have not been aware of the specificity of the displaced people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cuses on the diaspora forced by division, who cannot meet their families or visit their hometowns in the North until reunification.

As displaced people, they desperately express their nostalgia and represent their hometown as an ideal that cannot be returned to in their work. They dream of assimilation with nature, draw their missed daughters and wives, or paint a paradise where all their family members are able to gather together.


분단의 디아스포라

일본제국은 미국의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소련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 직후인 1945년 8월 15일 항복을 선언했다. 미국과 소련은 1945년 9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했다. 소련은 한반도 북반부에서 독립국가를 세우겠다고 결정하고 1948년 7월 10일 북조선인민회의 제5차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실시를 결정해 태극기를 끌어내고 인공기를 게양하며 북조선을 건국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은 정부 수립을 선포했고, 한국과 북조선의 이념갈등은 격화되었다. 1950년 6월 25일 소련의 막후 지원을 받은 북조선의 불법 침략으로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다. 

한반도 내 디아스포라는 일본제국으로부터 해방 이후 공산주의와 전쟁을 피해 38선을 넘은 월남과 피난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분단의 디아스포라>는 1945년 해방 직후부터 1953년 휴전으로 분단이 기정사실화되기 전까지 정치적, 사상적 혹은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북조선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여 활동을 해 온 작가들을 다룬다.

미술가들의 월남 시기는 대체로 6.25 전쟁 전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쟁 이전에 월남한 화가들은 김영주, 권옥연, 박고석 등이며, 중공군의 개입과 대대적인 공세로 국군과 UN군이 서울 이남지역까지 철수한 1·4후퇴의 소용돌이 속에서 월남한 미술가들은 김원, 이중섭, 최영림, 홍종명, 황유엽 등이다.

월남과 분단 고착화로 인해 원 거주지를 떠나 국외이면서도 국외가 아닌 곳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집단의 경험, 낯선 생활 속에서 느끼는 향수 서정 등 그들만의 특수성은 곧 예술창작의 원동력이 되고, 작품 속에 녹아 들어가게 된다. 

그동안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모국을 떠나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들을 일컬어 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는 비자발적이거나 강제적인 이주라기보다는 자발적 이주 혹은 이민의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그들은 조국을 다시 방문하고 가족을 만나는 길이 막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한반도 내 분단으로 발생된 이산민의 특수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자각하고, 통일이 되기 전까지 자신의 가족과 만나지 못하거나 고향 땅 이북을 밟을 수 없는 분단 디아스포라에게 주목하고자 한다.

그들은 실향민으로서 절실하게 망향의 정서를 드러내기도 하고, 작업 속에 돌아갈 수 없는 어떤 이상향으로서 고향을 표상하기도 한다. 자연과의 동화를 꿈꾸기도 하고 보고 싶은 딸과 아내를 그리거나 가족이 모두 모이는 낙원을 그리기도 한다.


 
Taehyun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