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유엽 Hwang Yoo-yup, 1916-2010
Born in Daedong-gun, South Pyeongan Province,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urrently Daedong-gu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Di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일제시대 조선 평안남도 대동군 출생(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동군) | 한국 서울 사망
Hwang Yoo-yup grew up in a rural village called Jangmae-ri near Pyongyang. He went to Seodang (village school) across the stream and over the hill covered with red ocher. He used to play with the red soil by the Daedong River, making various shapes of clay dolls―people and cows―on his way back home.
He was living in Pyongyang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He escaped south with haste during the retreat of the UN forces in late 1950, leaving his parents in the North. He settled in Daegu, where his sister lived. As artists from the North could get executed in those days if they were accused of being a red or spy, he joined the military painters' group to prove his anti-communist ideology and have his status guaranteed.
Hwang, using a painting knife instead of a brush, depicts all shapes in a simple and condensed way with thick lines and contours. He, using a knife, crushes colors, draws lines to mix colors, or scratches them to create a rugged surface of dark brown and reddish-yellow. Instead of applying a color already mixed on a palette, he squeezes colors directly onto a canvas and uses a knife to stack colors and make black outlines.
Are these broken forms and blurry expressions to show the pain of life shattered by the war? Or is he seeking a recovery of happiness and abundance? In the dusk, darkened by the color of raw paints that are not perfectly blended, Hwang seems to be meeting a vision that replaces his absent family and hometown.
황유엽의 고향은 평양 근교의 장매리라는 시골마을로, 서당에 갈 때는 냇가와 붉은 황토로 뒤덮인 고개를 넘어야 했다고 한다. 그는 서당을 다녀오며 대동강가의 붉은 흙으로 사람이나 소 등 여러 모양을 만들며 놀곤 했다고 한다.
평양에서 전쟁을 맞은 그는 1.4후퇴 때 갑자기 남하하느라 부모를 북에 두고 두 형제만 월남을 감행했다. 그는 누나가 살던 대구에 정착했고, 이 시기에 내려온 예술가들이 빨갱이나 간첩으로 몰릴 경우 생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사상을 증명하고 신분을 보장받기 위해 종군화가단에 입단했다.
황유엽은 붓 대신에 나이프를 이용해 굵직한 선과 윤곽선으로 모든 형체를 간결하게 압축해 표현한다. 작가는 나이프로 색을 뭉개거나 선을 그어 색면과 혼색을 이루거나 예리한 나이프로 긁어 흑갈색과 적황색의 투박한 화면을 만들어 낸다. 그는 파레트에서 색을 섞어 캔버스로 옮겨오지 않고, 캔버스에 물감을 직접 짜서 나이프로 검은 윤곽을 뜨고 색깔을 쌓는다.
형태는 깨어지고 초점이 없는 전쟁으로 조각난 삶의 아픔을 보여주는 것일까? 아니면 행복의 회복과 풍요를 희구하고 있는 것일까? 매끄럽게 섞이지 않은 날 것의 물감 그대로의 색상으로 어둡게 칠해진 황혼 속에서 작가는 가족과 고향 땅의 부재를 대체하는 환영을 만나고 있는 것 같다.